교육정책연구소
개요
울산교육종단연구 2024란?
울산 학생들의 역량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의 자료를 수집하여 교육활동과 교육정책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후, 더 좋은 학교 교육을 위한 지원 방향과 정책을 수립하는데 큰 역할을 하는 조사 연구입니다. 전국 최초로 시행하는 초·중·고 3개 패널 전수조사 연구
울산교육종단연구 2024 필요성
- 울산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변화 및 성장 과정을 볼 수 있는 중‧장기적 자료 수집
- 미래교육, 교육 자치 시대를 대비한 데이터 주권 확보
- 빅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 시 필요한 기초 자료 마련
- 울산 미래교육 정책 개발과 정책 검증
울산교육종단연구 2024 조사 설계
구분 | 조사 기간(2024 ~ 2033, 총 10년) | |||||||||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2030 | 2031 | 2032 | 2033 | |
초(패널1) | 초4 | 초5 | 초6 | 중1 | 중2 | 중3 | 고1 | 고2 | 고3 | 진로조사 |
중(패널2) | 중1 | 중2 | 중3 | 고1 | 고2 | 고3 | 진로조사 | |||
고(패널3) | 고1 | 고2 | 고3 | 진로조사 |
전 학교 초4, 중1, 고1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2024년에는 초4, 2025년에는 중1, 2026년에는 고1부터 시작하여 각 패널 학생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이후 이듬해까지 조사를 시행합니다. (기간: 2024년~2033년, 총 10년)
울산교육종단연구 2024 패널 구성
10년 장기 연구, 초·중·고 3개 패널 설계(전수조사)
구분 | 초 | 중 | 고 | 계 | |
---|---|---|---|---|---|
학교(교) | 121 | 64 | 57 | 242 | |
학급(개) | 466 | 472 | 419 | 1,357 | |
학생(명) | 10,795명 (2024년 초4) |
11,149명 (2025년 중1) |
11,082명 (2026년 고1) |
33,026명 | |
학부모(명) | 10,795 | 11,149 | 11,082 | 33,026 | |
교직원(명) | 교사 | 829 | 664 | 590 | 2,083 |
행정실장 | 121 | 64 | 57 | 242 | |
교감 | 126 | 63 | 58 | 247 | |
교장 | 121 | 64 | 57 | 242 | |
계(명) | 22,787 | 23,153 | 22,926 | 68,866 |
패널 구성(전수조사): 학생 33,026명, 학부모 33,026명, 교직원 2,816명. 총 68,868명(전 초·중·고 242교)
울산교육종단연구 2024 문항 설계(안)
1교시: 설문조사 학생영역 문항(초·중·고 각 30문항 내외), 40분 내외 소요 예측
대상 | 조사영역 |
---|---|
학생 | 학교생활, 자아개념, 창의성, 자기조절, 규칙준수, 시민의식, 방과후 시간활용과 여가생활, 부모관계, 고민, 장래 직업 등 |
전 학교의 학생(초4, 중1, 고1)을 포함한 학부모, 교사, 학교장, 학교를 대상으로 일반설문조사를 실시합니다.
2교시: 역량검사 문항(초·중·고 각 22개 항목 하위 20~30문항), 40분 내외 소요 예측
구분 | 울산학생역량 측정 지표 문항 | ||||
---|---|---|---|---|---|
대영역 | 자기주도역량 | 가치 창출 역량 | 대인관계 역량 | 세계시민 역량 | 계 |
소영역 | 5 | 5 | 6 | 6 | 22 |
문항수 | 5~7 | 5~7 | 5~7 | 5~7 | 20~30 |
위 안은 예시로 제시한 것이며, 일반설문조사와 학생역량검사는 모두 온라인 조사로 실시됩니다.
문항의 세부 내용은 2024년 문항 개발 연구 결과에 따라 변경 예정입니다.
2024년은 전체 초4 학생을 포함한 학부모, 교사, 학교장, 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만 실시합니다. 2025년부터는 전체 초5, 중1 학생만을 대상으로 역량검사를 실시하며, 전체 초5, 중1 학생을 포함한 학부모, 교사, 학교장, 학교를 대상으로는 설문조사를 함께 실시합니다.
기대 효과
- 학생 성장 현황 파악 및 정책 검증 용이
- 미래교육 대비를 위한 양질의 교육데이터 확보
- 교육 수요자 빅 데이터 기반 교육 정책 수립 및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