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교육복지우선지원(교육복지안전망센터) 소개

아이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 학교-가정-지역사회 교육복지공동체 구축을 통해 학습·문화·심리정서·복지등을 통합지원하므로서 학생들의 삶 전반에 대하여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 교육복지사 배치교 중점학교와 교육복지사 미배치교를 지원하는 교육복지안전망센터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교육복지사 미배치교
  • 지원청 내 교육복지안전망센터를 통하여 개별학교 담당 교육복지사가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돕고 있습니다.
  • 지원청 교육복지사 담당학교
    (103개교)

  • 관내 초·중·고 자세히 보기

교육복지사 담당제

  • 교육복지안전망센터 교육복지사와 학교(담당자)를 직접 연결하는 시스템으로 교육복지 업무 창구를 일원화하여 신속하고 체계적인 지원 가능
  • 「찾아가는 교육복지사」대상 학교 : 지원청 교육복지사가 주 1회 학교 현장을 직접 방문, 교직원·학생과의 소통을 통해 대상 학생을 발굴하고 필요한 행정 절차를 안내 및 지원

교육복지사 담당 현황(103교)

남구 53교(초 28 / 중 13 / 고 12)

교육복지사 담당 현황 남구
성명
(전화번호)
찾아가는 교육복지사 대상 학교 교육복지사 담당제 대상 학교 급별 합계
김현주
(228-6777)
신정중
  • 옥동초, 신복초, 삼호초
  • 무거중, 옥현중
  • 무거고, 문수고, 우신고
  • 초 (3)
  • 중 (3)
  • 고 (3)
9교
김현숙
(228-6774)
신정초
학성고
  • 청솔초, 격동초
  • 학성중, 서여중, 신일중
  • 신정고, 제일고
  • 초 (3)
  • 중 (3)
  • 고 (3)
9교
홍은경
(228-6665)
강남초
(선도학교)
중앙중
  • 수암초, 월평초, 남산초, 백합초, 개운초, 여천초
  • 울산여고
  • 초 (7)
  • 중 (1)
  • 고 (1)
9교
이혜린
(228-6692)
삼신초
대현중
  • 도산초, 삼산초, 옥서초
  • 태화중, 강남중, 옥동중
  • 삼산고
  • 초 (4)
  • 중 (4)
  • 고 (1)
9교
서정민
(228-6686)
월봉초
야음중
  • 대현초, 남부초, 선암초, 야음초
  • 신선여고, 대현고, 성광여고
  • 초 (5)
  • 중 (1)
  • 고 (3)
9교
김대윤
(228-6775)
-
  • 월계초, 옥산초, 동백초, 용연초, 장생포초, 두왕초
  • 문수중
  • 삼일여고
  • 초 (6)
  • 중 (1)
  • 고 (1)
8교

울주군 26교(초 17 / 중 5 / 고 4)

교육복지사 담당 현황 울주군 26교
성명
(전화번호)
찾아가는 교육복지사 대상 학교 교육복지사 담당제 대상 학교 급별 합계
장지희
(228-6679)
온남초
남창고
  • 울주명지초, 굴화초, 척과초
  • 구영중, 장검중
  • 범서고
  • 초 (4)
  • 중 (2)
  • 고 (2)
8교
박경애
(228-6688)
덕신초
강남고

(남구)
  • 호연초, 청량초, 구영초, 두동초, 두서초
  • 청량중, 두광중
  • 초 (6)
  • 중 (2)
  • 고 (1)
9교
주미숙
(228-6689)
온산초
(균형발전)
  • 온양초, 성동초, 삼평초, 명산초, 서생초, 무거초
  • 서생중
  • 온산고
  • 초 (7)
  • 중 (1)
  • 고 (1)
9교

울주군 24교(초 13 / 중 6 / 고 5)

교육복지사 담당 현황 울주군 24교
성명
(전화번호)
찾아가는 교육복지사 대상 학교 교육복지사 담당제 대상 학교 급별 합계
서은영
(228-6776)
천상중
  • 천상초, 웅촌초, 삼정초, 문수초
  • 웅촌중
  • 예술고, 천상고
  • 초 (4)
  • 중 (2)
  • 고 (2)
8교
최유정
(228-6687)
범서초
영화초
  • 반천초, 삼동초
  • 범서중, 신언중
  • 경의고, 과학고
  • 초 (4)
  • 중 (2)
  • 고 (2)
8교
이민
(228-6669)
반곡초
(강남청자체)
언양고
  • 상북초, 중남초, 방기초, 삼남초
  • 삼남중, 상북중
  • 초 (5)
  • 중 (2)
  • 고 (1)
8교

지원 대상

  • 성장 및 학교생활에 도움이 필요한 교육취약학생
  • 기초수급, 법정저소득(한부모가정, 차상위계층), 다문화가정학생, 탈북가정학생 등

지원 절차

  1. 01

    발굴/의뢰

    • 학교&지역기관 발굴 및 의뢰
    • 자발적 신청
    • 신청서, 개인정보제공동의서 접수
  2. 02

    초기면담/사정

    • 욕구파악 및 상황분석
    • 지원방향 설정
  3. 03

    학생성장지원 계획

    • 통합성장관리
    • 프로그램 지원
    • 지역기관 연계
  4. 04

    개입 및 자원연계

    • 학교 및 지역기관 연계
    • 학교 내·외부 사례관리
  5. 05

    모니터링

    • 내부사례회의
    • 사례별 재사정
  6. 06

    종결 및 사후관리

    • 종결 / 사후관리

지원 내용

  • 학생중심: 학생성장중심 맞춤통합지원(사례관리, 위기·맞춤·일상지원 등)
  • 관계중심: 따뜻한 관계·경험을 통한 행복한 성장지원(가족기능강화, 사제동행, 교우관계 프로그램 등)
  • 공동체중심: 협업과 소통을 통한 교육복지공동체(지자체, 지역 기관 연계 협력, 인적·물적·자원 발 굴 및 연계, 네트워크 협력 강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홍보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