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공간혁신이란?

개념

학교공간혁신은 단순히 노후화된 학교시설을 개선하는 사업이 아니라 미래사회 주역인 학생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교육활동을 통해 학습과 놀이, 휴식 등 균형 잡힌 삶의 공간으로서 학교를 만들어가는 과정입니다.

목표

미래교육 대응학생중심 융·복합교육

미래 혁신교육에 필요한 다양하고 유연한 공간 조성

민주시민 교육사용자 참여 설계

교육과정과 연계한 민주시민 역량 강화

자치공동체 실현지역사회 개방·공유

지역사회 문화형성 삶의 중심 공간으로서 학교역할 강화

‘울산다운’ 학교공간혁신 프로젝트 지향점

‘울산다운’ 학교공간혁신 프로젝트 지향점
1

건강한 배움과 삶을 기초로 하는 생태적 배움환경을 함께 만들어갑니다.

  • 자연을 품은 생태적 배움환경 구현
  •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프로젝트 실천과정 모색
2

학교 배움문화를 이야기하고, 배움담은 공간을 상상하는 과정중심 문화를 만들어갑니다.

  • 표준을 넘어 더 남은 배움문화를 이야기하는 학교공간혁신 협력체 구성
  • 시설환경개선을 넘어, 배움문화를 담는 배움공간 모색
3

학교, 전문가, 교육청, 자자체가 지혜롭게 협력하는 방향을 함께 고민합니다.

  • 학생, 교사, 학부모, 행정, 촉진자, 설게자 상호 팀워크 구축으로 지속적인 동반성장
  • 교육과 건축분야의우수 전문인력 발굴 및 양성
4

배움으로 학교와 마을을 잇고, 공간으로 학교와 마을이 만납니다.

  • 배움공동체 성장과 연계를 위한 학교, 마을 상호 협력체계 준비
  • 마을자원을 활용한 배움방향 연구
5

미래 울산 배움방향, 배움환경의 이슈를 찾고, 실천합니다.

  • 우리학교 고유의 배움문화를 반영한 프로젝트 기획과 실천
  • 울산교육공동체와 함께 찾아나가는 우리울산 배움방향과 배움공간을 통하나 실천방향 모색

‘울산다운’ 학교공간혁신 프로젝트 로드맵

‘울산다운’ 학교공간혁신 프로젝트 로드맵
준비,실행,정리순으로 정보제공
준비
  • (1) 사전조사 : 학교 문화 경청, 공간, 지역인적자원 파악
  • (2) KICK-OFF : 사업설명 및 교원 실행중심 워크숍 / 촉진자, 설계자 워크숍
  • (3) 기획서 수정, 보완 : 사업신청 기반 실행중심 기획서 수정 및 보완
  • (4) 실행준비완료 : 학교와 건축교육가(설계자 매칭) / 진행일정 및 계약형태 최정협의 및 점검 / 8학교 간담회(교원, 교직원, 촉진자, 설계자, 교육청관계자 참가)
실행
  • (5) 실행단계 : 실행계획안을 바탕으로 실행
  • (6, 8, 10) 실행팀(학교현장)과 총괄팀(기획, 실행) 2방향 진행 : Q&A 소통창고를 통한 학교현장·교육청(담당부서, 총괄팀) 소통체계 마련
  • (7) 1차공유회 : 학교별 진행한 교육내용과 기본설계방향 공유(디렉터팀+8개학교 ‘촉진자+설계자’)
  • (8) 2차공유회 : 학교별 진행된 기본계획 공유 / 실행단계 내용공유(계약형태, 재료수습, 시공시기, 완공시기, 안전검사 등)를 통한 시행착오 최소화 지원
  • (10) ‘건축설계’ : 실시설계 진행 / ‘보고서작성’ : 학교실행초기단계 보고서 작성
정리
  • (16) 최종공유회 : 학교공간혁신 커밍데이 실시(오픈식)